Black 반투명 BG!!
마케팅 칼럼
2008년 검색 광고 시기별 카테고리 전망
2008년 검색 광고 시기별 카테고리 전망
관리자, 2012/02/21, HIT : 681, 추천 : 0
2008년 검색 광고 시기별 카테고리 전망





2008년 검색 광고 시기별 카테고리 동향의 분석을 통해 2008 온라인 시장과 마케팅 시장을 대비하고자 한다.

먼저 전체 온라인 쇼핑 시장 규모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주요 소매 채널별 연간 판매액 규모는 2003~2007년까지 분석한 결과 백화점은 낮아지는 반면 대형 할인점과 온라인 시장은 그 규모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판매액 성장률도 대형 할인점은 10%, 백화점은 3%에 그쳤지만 온라인은 17%로 앞으로 더 큰 성장이

예상된다.





다음은, 2008년 온라인 쇼핑몰 시장 규모를 예상 해본 결과이다.




여러 기관 / 단체들 중 ‘신세계 유통 연구소’가 비교적 가장 정확한 전망을 내놓은 것으로 보이는데,최근 통계청 발표 자료를 근거로 계산한 08년 온라인 상거래 예상 시장규모는 다소 높은 약18조 7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은 백화점과 대등한 수준까지 성장 할 것으로 예상, 09년부터는 백화점을 추월하여 제2의

소매 채널로 성장 할 것으로 전망된다.







온라인 쇼핑몰 유형별 업체 수 추이를 보면 전문몰은 진입장벽이 낮다는 온라인 사업의 특성으로 인해 개인 단위의 소규모 사업자들이 크게 증가 하였지만 종합몰은 시장이 커지고 대형 종합몰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경쟁력을 상실한 업체들의 시장 철수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 온라인 상거래 시장의 성장은 오픈마켓의 급격한 성장에 작년 11월 국세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년대비 18% 성장한 약 6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오픈마켓은 급격한 성장으로 전체 온라인 쇼핑몰 시장에서의 비중이 약40%까지 확대 되었다.



온라인 쇼핑 카테고리별 현황

1.카테고리별 연간 판매액 & 판매액 비중

‘의류/패션’, ‘여행/예약’, ‘가전/전자’ 등이 연간 2조원 이상의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전체 온라인 시장에서

합계 47%의 비중을 차지한다.

2. 종합 쇼핑몰 & 전문몰 카테고리별 연간 판매액 추이

종합 쇼핑몰은 연간 판매액이 ‘의류/패션’, ‘가전/전자/통신기기’, ‘생활용품/자동차용품’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몰은 ‘여행 및 예약 서비스’, ‘서적’,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순으로 판매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종합 쇼핑몰 & 전문몰 카테고리별 연간 판매액 비중

종합 쇼핑몰의 경우 ‘의류/패션’, ‘가전/전자/통신기기’, ‘생활용품/자동차용품’의 판매 비중이 높으며,이들 상위 3개 카테고리가 전체 판매의 53%를 차지한다.

전문몰 시장의 경우는 ‘여행/예약’의 비중이 매우 높으며, ‘서적’, ‘컴퓨터’, ‘의류/패션’ 등이 주요 카테고리이다.

4. 채널별 시장중요도 & 판매액 성장률

시장 중요도란 전체 판매액에서 각 채널의 판매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일컫는 말로써 ‘의류/패션’, ‘가전/전자/통신기기’, ‘생활용품/자동차용품’, ‘스포츠/레저용품‘, ‘아동/유아용품’이 종합몰과 전문몰에서 뚜렷하게 차이가 났다. 특히, ‘가전/전자/통신기기’에서 종합몰은 17.2%의 성장을 보인 반면 전문몰은 -1.5%로 하락세를 보였다.




그럼, 전체 검색 광고 시장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2007년 전체 인터넷 광고비는 1조 2,311억원으로 인터넷 광고 비중이 2007년에는 15.7%까지 성장을 하였다.

앞서 2011년까지 전체 인터넷 광고 시장은 연평균 34%, 검색 광고 시장은 연평균 4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버추어 카테고리별 현황

오버추어 연간 광고비는 2007년에 전년대비 23%성장 하였지만 소액 광고주들의 증가로 인해 계정당 평균 연간

광고비는 13% 하락 하였다.

다음은 오버추어에서 제품군별로 소비자들의 구매 행태를 분석해 보았다.



1. 광고비 비중 & 광고비 성장률

연간 광고비 비중은 ‘건강/미용’이 14.2%로 높으나 2007년 전년비 광고비 성장률은 'B2B'가 84%, '의류/액세서리‘가 54%로 많은 성장을 보였다.

2. 계정 수 비중 & 계정 수 성장률

연간 계정 수 비중도 ‘의류/액세서리’가 13.5%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2007년 전년대비계정 수 성장률은 'B2B'가 109%, ‘소매/쇼핑’이 88%라는 큰 성장을 하였다.

3. 계정당 평균 광고비 & CPC

계정당 평균 연간 광고비는 ‘소매/쇼핑’이 2,500만원을 넘어섰고 계정당 연간 평균 CPC는 ‘금융/보험’이 1,000원으로 가장 높았다.

4. 각 Tier 카테고리별 계정수

06년에 비해 월평균 광고비가 500만원 이상 고액 광고주들이 증가하였고 ‘대출’, ‘병원’ , ‘여행사’, ‘이동통신사’, ‘초고속 인터넷’, ‘꽃’, ‘쇼핑몰’ 등의 카테고리에 상대적으로 고액 광고주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07년에는 병원, 대출, 의류/액세서리 등 광고비 규모가 큰 상위 카테고리들의 광고비와 계정수가 모두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였고 병원의 경우 학생들이 주요 고객층이 되면서 성수기인 방학 기간에 학생들을 타겟으로 한 검색광고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고 대출의 경우 1금융권에서 이탈한 대기 대출 수요를 노리는 2,3금융권과 사금융권 광고주들이 크게 증가 하였다.




이는 인터넷에 익숙한 세대가 주요 고객층으로 성장하면서 ‘결혼’, ‘부동산’, ‘식품’ 등 이른바 보수적인카테고리의 광고비가 크게 증가하였다.






계절성 & 시기별 Key 카테고리

시기적으로 Issue는 주로 사회, 정치적 이슈인 경우가 많으나 실제 온라인 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

하지만, 시장 추이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항상 예상 가능한 이슈들이라는 점에서 이를 대비하는 사전 영업/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슈는 두 가지로 나뉘는데 Non-Default Issue와 Default Issue가 있다.



또한, 검색 광고 시장의 성수기인 여름과 연말 시즌은 계절성이 매우 강하여, Seansonal 카테고리들의 광고비가 급증하면서 전체 광고비가 쿼리 수 이상의 성장률을 나타낸다.

그럼 시기별 이슈와 Key 카테고리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분기별 소비자들의 구매 행태

첫째, 1분기

1월~3월로 신년과 겨울, 방학, 구정, 졸업식, 입학식, 발렌타인데이, 신학기 등이 이슈가 되어 ‘레져/스포츠‘, ’꽃/이벤트‘, ’컴퓨터‘, ’건강/미용‘ 등이 Key 카테고리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분기

4월~6월로 특히 5월은 가족의 달로 어린이날과 어버이날, 스승의날 등이 이슈가 되고 따라서 key 카테고리는 소매/쇼핑, 꽃/이벤트, 레져/스포츠가 있다.

셋째, 3분기

7월~9월로 여름 방학과 휴가, 결혼 시즌으로 방학, 휴가, 추석 등이 이슈가 되고 Key 카테고리는 결혼/아기, 건강/미용, 여행/교통 등이 있다.

넷째, 4분기

겨울방학과 연말로 크리스마스라든지 수능, 방학, 연말 등이 이슈가 되고 건강/미용, 교육/취업,여행/교통 등이 key카테고리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여름과 연말에는 특히 Seansonal 카테고리들에 보다 집중해야 할 것이다.





[출처] 인터넷마케팅컨설팅그룹 클렉스
왜 검색 광고가 호황을 누릴까? 관리자
블로그를 알면 브랜드마케팅도 쉬워진다. 관리자
추천하기
작성자 : 비밀번호 :

네임서버정보

1차
ns1.getmall.co.kr / 222.239.90.84
2차
ns2.getmall.co.kr / 222.239.90.83

고객센터

1544-8992

E-mail : webmaster@getmall.co.kr

평일 09:00~18:00 / 주말, 공휴일 휴무

호스팅장애 긴급문의 070-7585-3230

계좌정보

국민은행 632301-04-135032

예금주 : (주)오브제인터랙티브